암반 현장조사 방법 rock investing

이미지
암반 사면은 흙 사면과는 다르게 불연속면의 영향이 매우 크다. 따라서 암사면은 보통 SMR, 평사투영법에 의해 안정성을 1차적으로 평가하며 붕괴가능성 및 붕괴형태를 판단한 후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한계평형해석법에 의해 해석하여 안전율로 안정성을 평가한다. 현장조사 ① 지표지질 조사 ㆍ노두나 단층면, 절토면 등을 관찰하여 불연속면의 상태를 계략적으로 조사한다. ② 시추조사 ㆍNX size의 코어 보링으로 Triple core barrel을 이용 core barrel을 이용 core를 채취한다. ③ 물리 탐사 ㆍ전기비저항, 탄성파탐사, GPR탐사 등을 실시한다. ④ 물리 검층 ㆍ공내 속도검층, Geo tomography, Suspension PS, BHTV, BIPS 등을 실시한다. ㆍ활동 파괴시 모멘트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ㆍ단, 급경사지에서는 모멘트에 의한 전도 파괴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ㆍ지하수위가 파괴면을 따라 존재한다고 가정 하였으나 실제 수압 상태는 가정과 다르고 현재의 지식으로는 정확한 해석이 어렵다. ㆍ적정 안전율은 1이상으로 한다.

vertical drain 연직배수 공법

 연직 배수공법이란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 연직 배수재(sand, paper )를 설치하여 배수 거리를 단축시켜 압밀 시간을 단축하는 공법이다.




HZ에서 D/2로 단축됨으로서 시간이 단축된다.



vertical drain 공법 고려사항

1 Drain의 응력집중
상대적 강성 차에 의한 Arching 현상 발생으로 인해

2 Drain의 투수성 저하
배수기능 저하 발생 (well resistance)

3 Smear effect 영향
배수재의 타입이나 인발시 주변 지반의 교란 문제

4 Mat resistance
성토 하중 등에 의한 압밀로 인해 투수성 감소 문제

5 압밀 과정 중에 발생하는 문제



Vertical drain 공법에서 배수재를 설치하게 되면 압밀발생으로 수두가 감소하고 교 란등 기타 원인에 의해 투수계수가 감소하여 연직 배수 공법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따 라서 설계시 이러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제 기대만큼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예상보다 시공기간이 길어 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