깎기 경계부와 비탈면 다짐 Cutting Boundaries and Slope Resolutions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유기질토는 함수비가 높고 투수성이 작고 압축비가 매우 큰 특징이 있다. 비탈면 다짐은 불도저, 인력,소형기계 방법이 있다.
1. 유기질토 특징
① 함수비가 200~300% 이상의 고함수비이며, 포장용수량이 많다.
② 투수성이 작다.
③ 압축성이 매우 크다. 특히 2차 압밀 침하량이 매우커서 안정문제 발생
④ 한랭 습윤한 지방에서 주로 발생하며, 유기물함량이 2~4%이상이면 consistency와 강도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⑤ 원지반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DCM에서는 개량체의 강도가 저하될수 있다.
⑥ 유기물이 부패하면 흙의 성질이 변화하며 공학적으로 매우 불량하다.
2. 깎기 경계부
① 압축침하 발생
ㆍ쌓기재의 자중과 윤하중, 우수침투 등에 의한 토립자의 재배열 및 압축침하 발생가능
② 부등침하
ㆍ깍기부와 흙쌓기부의 경계에 지표수, 용수, 침투수 등이 집중되기 쉬워 흙쌓기부가 약화되어 부등침하가 발생할 수 있음
ㆍ부등침하 발생으로 인해 포장균열, 단차(faulting), 구조물 기울어짐(tilting) 발생가능
③ 단차발생
ㆍ편절·편성토에서는 기초지반과 흙쌓기의 접착이 불충분하게 되기 쉬워 지반의 변형과 활동에 의한 단차 발생 가능
부등침하 대책 : ① 흙 쌓기 및 깍기 접속부 경사를 1:4로 원지반 제거
② 접속구간 연장
ㆍ흙 깍기부 노상치환이 없을 때 ; 25㎜
ㆍ흙 깍기부 노상치환이 있을 때 ; 17㎜
ㆍ원지반이 암구간일 때 : 5㎜
③ 흙쌓기부 경계면에 맹암거 설치
④ 경계구간 접속부는 암버럭 쌓기 배제
3. 비탈면 다짐
① 불도저 등에 의한 비탈면 다짐
ㆍ흙쌓기 전면폭을 1층마다 다짐하고 1~3층 올라갈 때마다 비탈면에 불도저를 주행시켜 다짐
ㆍ불도저 가전압 후에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다짐
② 인력과 소형기계에 의한 다짐
ㆍ소규모 비탈면, 구조물 뒷채움에 이용
ㆍ흙쌓기 본체를 구성한 후 비탈면에 흙을 보충하면서 진동램머, 진동평판, 진동롤러 등의 소형다짐기계로 경사면과 연직으로 다짐
③ 흙쌓기 폭보다 넓게 완성한 후 굴착, 정형하는 방법
ㆍ용지폭의 여유가 있거나, 부체도로가 있는 경우 이용
ㆍ흙쌓기 폭보다 여유있게 흙을 쌓아 다짐이 불충분한 흙쌓기 단부를 드래그라인, 트럭쇼벨 등으로 절취, 정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