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조사 관찰조사 보완조사 face mapping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지반조사는 예비조사, 본조사 및 보완조사 등의 단계로 구분 된다. 소규모 공사의 경우에는 조사단계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으나 장대터널 및 도심지터널 공사 등에서는 모두 실시한다.
1. 지반조사 항목
구분 |
세부조사항목 |
표층지반 |
표토, 풍화토, 퇴적물의 종류(하상퇴적물, 선상지 퇴적물, 단구 퇴적물, 붕괴 퇴적물, 화산분출물)등의 분포상태 및 구성물질, 두께, 고결정도, 함수상태, 투수성, 유동성 등 |
암질 |
암석의 종류, 입도, 조암광물과 배열, 공극상태,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파 속도, 변성도 및 풍화도, 층리.엽리 등 |
지질구조 |
지질분포, 지층의 성층상태, 주향과 경사, 절리, 습곡, 단층, 파쇄대, 변질대 등 |
지표수 및 지하수 |
지표수의 유하상태, 지하수의 부존상태, 수온, 수질, 대수층의 구성, 지하수위, 대수층과 지질과의 관계, 용수상 황등 |
지열, 온천 |
고지열대, 온천용출 등 |
지하공동 |
자연공동(석회동굴 등), 광산갱도, 폐광 등의 과거갱도 |
암반거동 |
팽창성 및 유동성 지반의 유무나 분포상태, 용수에 의한 붕괴가능 지반의 유무정도나 분포상태, 편압가능성 등 |
2. face mapping 정의
ᆞ공사시에 노출되는 막장면의 지질 및 지반 상태를 관찰하고 조사하여 설계 시에 적
용한 지반조건의 적합성 확인. 2 방법
ᆞ실제지반상태가 설계조건과 상이하여 설계보완이 필요한 경우 - 상세지반조사 실시 ᆞ매 굴진장마다 실시, 지반조건에 따라 관찰빈도 조정
-노출 시간이 제한적인 경우 : 일회의 굴진장 단위의 막장면 관찰
-노출 시간이 일정 기간 유지시 : 벽면 지질 조사 (wall mapping) 병행
ᆞ막장면 관찰결과로 시공 중 터널지질도 작성, 암반분류 실시 지보패턴 조정
ᆞ막장면 사진을 촬영(필요시 사진측량 및 3차원 레이져스캐너 등 이용)막장 관찰도에 첨부
ᆞ시공 중 터널지질도를 작성하여 운영시의 기본자료로 활용 ᆞ막장면 지질도 작성
-막장 붕괴여부 및 붕괴위치, 형태 및 규모
-암종, 풍화정도, 고결정도, 강도, 암반등급 및 지층분포
-절리, 단층 등의 주향과 경사 및 터널방향과의 관계
-층리, 절리, 단층 등의 간격, 틈새, 충전물 유무와 상태∙용출수 위치, 토립자 유실유
무 및 유출정도
ᆞ막장면 지질도는 시공 중 터널 지질도의 형태로 종합 지속적인 취합과 통합 분석 수행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