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반 현장조사 방법 rock investing

이미지
암반 사면은 흙 사면과는 다르게 불연속면의 영향이 매우 크다. 따라서 암사면은 보통 SMR, 평사투영법에 의해 안정성을 1차적으로 평가하며 붕괴가능성 및 붕괴형태를 판단한 후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한계평형해석법에 의해 해석하여 안전율로 안정성을 평가한다. 현장조사 ① 지표지질 조사 ㆍ노두나 단층면, 절토면 등을 관찰하여 불연속면의 상태를 계략적으로 조사한다. ② 시추조사 ㆍNX size의 코어 보링으로 Triple core barrel을 이용 core barrel을 이용 core를 채취한다. ③ 물리 탐사 ㆍ전기비저항, 탄성파탐사, GPR탐사 등을 실시한다. ④ 물리 검층 ㆍ공내 속도검층, Geo tomography, Suspension PS, BHTV, BIPS 등을 실시한다. ㆍ활동 파괴시 모멘트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ㆍ단, 급경사지에서는 모멘트에 의한 전도 파괴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ㆍ지하수위가 파괴면을 따라 존재한다고 가정 하였으나 실제 수압 상태는 가정과 다르고 현재의 지식으로는 정확한 해석이 어렵다. ㆍ적정 안전율은 1이상으로 한다.

팽이기초 tob base 원리와 특징

팽이기초는 ToP-Base공법이라고 한다. 팽이기초 공법은 짧은 팽이형 콘크리트 Pile을 이용한 기초로 침하억제와 지지력증가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공법이다.

팽이기초

(1) 팽이기초 원리

① 팽이부 : 하중분산 효과

② 선단부 : 지지력 증대와 침하감소 효과


(2) 팽이기초 시공순서

① 위치고정용 철근 설치

② 팽이말뚝을 근입시킴

③ 팽이 말뚝사이를 쇄석으로 채움

④ 상부고리를 철근으로 연결시킴


3. 팽이기초 특징

(1) 강성지반구조를 형성

ㆍ팽이파일과 채움쇄석이 일체거동을 함 → 강성이 커지며, 근입효과 발생

(2) 응력 균등분포

ㆍ강성지반임에도 불구하고 채움쇄석에 의해 → 부등침하가 없고, 하중이 분산됨

(3) 주변지반의 측방변형 구속

ㆍPile과 지반사이의 마찰작용에 의해 → 국부전단파괴 방지, 부의 dilatancy 방지, 압축침하 감소 효과 발

(4) 역학적 특성변화

ㆍ지지력 변화 : 50~100%정도 증가(1.5~2배 정도)



이질층 시 


  1. 지층이 다른 지반위에 확대기초가 놓일 경우 파괴면이 2, 3개의 다른 지층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균질한 지반에 대해 유도된 지지력 공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2. 만일 아래 지층이 더 견고하다면 지지력은 증가할 것이고, 더 연약하다면 감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3. 여기에서는 이러한 이질층위에 놓인 기초의 지지력 산정에 대해 기술한다.

① 암반상에 설치된 교대

ㆍ암반의 불연속면에 의해 암반 기초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ㆍ파괴면 a-a : 단층을 따르다가 사면 저부에서 무결함 암석층을 통과하는 교대의 전반파괴 발생가능

ㆍ파괴 b : 사면과 틈이 생기는 방향성을 갖는 절리면 상에서 수직교각 기초의 국부파괴 발생가능 

ㆍ파괴 C : 단층내의 연약한 재료가 압축되면서 아치 기초에 침하발생

ㆍ파괴 d : 볼트가 정착된 영역 내의 불량한 암반에서 볼트파괴와 교대지지력 손실을 초래함

② 지하수 상부의 암반기초

ㆍ기초영역을 관통 및 우회하는 지하수 유동은 전단강도 감소와 별개로 안정상에 영향을 미침

ㆍ지하수의 급속한 유동은 강도가 작은 균열 및 충전물을 세굴로 공동형성

ㆍ석회암과 용해성 암반을 통과하는 지하수 침투는 공동을 발생시킴

ㆍ셰일과 같은 암석은 시간경과에 따른 풍화 및 열화 발생으로 지지력 손실 발생

ㆍ풍화는 굴착 후 신속한 지지면 보호가 필요할 정도로 급속하게 진전되거나 장기개념의 구조물 침하를 초래하면서 시공 후 상당한 시간에 걸쳐 발생될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