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상대밀도인 게시물 표시

암반 현장조사 방법 rock investing

이미지
암반 사면은 흙 사면과는 다르게 불연속면의 영향이 매우 크다. 따라서 암사면은 보통 SMR, 평사투영법에 의해 안정성을 1차적으로 평가하며 붕괴가능성 및 붕괴형태를 판단한 후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한계평형해석법에 의해 해석하여 안전율로 안정성을 평가한다. 현장조사 ① 지표지질 조사 ㆍ노두나 단층면, 절토면 등을 관찰하여 불연속면의 상태를 계략적으로 조사한다. ② 시추조사 ㆍNX size의 코어 보링으로 Triple core barrel을 이용 core barrel을 이용 core를 채취한다. ③ 물리 탐사 ㆍ전기비저항, 탄성파탐사, GPR탐사 등을 실시한다. ④ 물리 검층 ㆍ공내 속도검층, Geo tomography, Suspension PS, BHTV, BIPS 등을 실시한다. ㆍ활동 파괴시 모멘트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ㆍ단, 급경사지에서는 모멘트에 의한 전도 파괴 가능성에 주의해야 한다. ㆍ지하수위가 파괴면을 따라 존재한다고 가정 하였으나 실제 수압 상태는 가정과 다르고 현재의 지식으로는 정확한 해석이 어렵다. ㆍ적정 안전율은 1이상으로 한다.

모래의 상대밀도 Dr 특징 활용

이미지
상대밀도는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타낸다. 상대밀도를 통해 전단강도, 액상화, 다짐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대밀도 정의   일반적으로 간극비는 입자의 형상이나 균등한 정도에 크게 영향 받기 때문에 간극비 자체만으로는 흙의 느슨하고 조밀한 정도를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와 가장 조밀한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 타내는데 이를 상대 밀도 (Dr)라 하며 사질토의 거동을 나타내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다. 2. 상대밀도 특징 ① 간극비는 사질토의 조밀정도를 표현하지 못한다.   ② 입경이 작은 그림 a의 경우 매우 느슨한 상태의 배치이며, 그림 b는 매우 조밀한 상태의 배치이다 ③ 그러나 그림 a와 b의 간극비는 거의 비슷하므로 간극비로는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타내지 못함 ④ 따라서 사질토의 조밀정도는 가장 느슨한 상태와 조밀한 상태에 대한 상대적인 정도를 표현하는 상대밀도를 사용한다. 3. 상대밀도 영향인자 ① e : 자연 상태에서의 간극비 ㆍ간극비 및 건조단위중량 산정방법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음 ㆍ단 입자가 파쇄되지 않는 가장 촘촘한 상태와 느슨한 상태에 대해 산정함 ② e max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간극비 (최소건조단위중량) ㆍ표준형틀에 여러층으로 충격을 가해 촘촘해진 흙의 무게와 부피를 구해 산정 ③ e min : 가장 조밀한 상태의 간극비 (최대건조단위중량) ㆍ깔대기를 통해 낙하고를 최소화하여 조심스럽게 낙하시켜 표준형틀에 채워 산정 4. 상대밀도 활용 ① 압축성 판단 - 사질토는 Dr이 작을수록 압축성이 크다 ② 전단강도 판단 - 사질토는 Dr이 작을수록 전단 강도가 작다 ③ 액상화 가능성 판단 - N < 10 일 때, 즉 Dr < 40%인 경우 발생가능 ④ 다짐정도 표시 ⑤ 지지력 판단 - 얕은 기초의 지지층은 N > 30이상 ( Dr >60% ) ⑥ 기초의 파괴형태 예측 - Dr > 60% (전반 전단파괴), Dr < 40% (국부 전단파괴...

상대밀도와 활용 Relative Density

이미지
상대밀도의 뜻은 사질토가 얼마나 조밀하게 모여있는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상대밀도는 모래의 전단강도와 다짐정도 액상화 가능성 판단에 활용한다. 1. 상대밀도 개념 일반적으로 간극비는 입자의 형상이나 균등한 정도에 크게 영향 받기 때문에 간극비 자체만으로는 흙의 느슨하고 조밀한 정도를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흙이 가장 느슨한 상태와 가장 조밀한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 타내는데 이를 상대 밀도 (Dr)라 하며 사질토의 거동을 나타내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이다. ① 간극비는 사질토의 조밀정도를 표현하지 못한다.   ② 입경이 작은 그림 a의 경우 매우 느슨한 상태의 배치이며, 그림 b는 매우 조밀한 상태의 배치이다 ③ 그러나 그림 a와 b의 간극비는 거의 비슷하므로 간극비로는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타내지 못함 ④ 따라서 사질토의 조밀정도는 가장 느슨한 상태와 조밀한 상태에 대한 상대적인 정도를 표현하는 상대밀도를 사용한다. 2. 상대밀도 활용 ① 압축성 판단 - 사질토는 Dr이 작을수록 압축성이 크다 ② 전단강도 판단 - 사질토는 Dr이 작을수록 전단 강도가 작다 ③ 액상화 가능성 판단 - N < 10 일 때, 즉 Dr < 40%인 경우 발생가능 ④ 다짐정도 표시 ⑤ 지지력 판단 - 얕은 기초의 지지층은 N > 30이상 ( Dr >60% ) ⑥ 기초의 파괴형태 예측 - Dr > 60% (전반 전단파괴), Dr < 40% (국부 전단파괴)